레지스트리 편집기 가서
시작 실행 idedit
여기서
hkey_local_machine에서 software를 실행
oracle열기
key_oradb10g선택
**)oracle_sid를 선택하면 db이름을 알 수 있다
**)oracle_home을 선택하면 오라클이 어디에 깔려있는지 알 수 있다 경로가 있다
**)nls_lang를 선택하면
KOREAN_KOREA.KO16MSWIN949라고 써있다
java == 유니코드를 사용한다
ascii == 어메리칸 스탠다드 코드
서양 사람들이 키보드 자판 글자 경로 번호를 매겨놓은것..
A =65
a = 65+32= 97 ==>7bit
us7ascii로 저장을 한다
그럼 한글을 저장하고 싶어
그래서 우리나라에서 만들었어
그것이 바로 ko16ksc5601==> 한글완성형==> 한글이 저장이 된다 영문도 된다
기존의 한글 완성형에 한글과 호환이 잘 되는 window를 혼합하여 만든것이
KO16MSWIN949 이다.. window,linux도 된다
그렇다면 아랍어등을 어떻게 넣을까??
유니코드==>전세계의 언어를 하나로 묶어보자..라는 개념으로 만들었다..
http://www.unicode.org/
주소에 정보를 알 수 있다
그래서 플랫폼에 독립적인 java는(유니코드와 잘 맞기때문에) 아랍어라도 class를 만들 수 있다
KOREAN_KOREA.KO16MSWIN949
즉 영문과 한글이 지원된다는 것이다.
그럼 아랍인들은 어떻게 하지??
char== 고정형 문자 || ncahr ==이렇게 컬럼을 저장하면 유니코드로 저장이 된다(다국어 지원)
varchar == 가변형 문자 || nvarchar2 == 이렇게 컬럼을 저장하면 유니코드로 저장이 된다 (다국어 지원)
'산자부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구조 주석문 처리 (0) | 2009.10.08 |
---|---|
oracle 구조 (0) | 2009.10.08 |
select update의 과정을 보자^^ (0) | 2009.10.07 |
산자부 트리거 올리기 (0) | 2009.10.01 |
editplus function 만들기 (0) | 2009.09.28 |